1. 서울 전셋값, 월급 그대로 모아도 5.6년 필요
서울의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세입자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KB부동산의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소득 대비 전세가격 비율(J-PIR)은 5.63으로, 이는 중위 소득 가구가 5.63년간 급여를 모아야 중간 가격의 전셋집을 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18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매매가격 상승폭보다 더 큰 상황입니다.
2. 서울 부동산 시장의 온기, 확산에 한계
서울 강남권에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마포, 용산, 성동구로 이어지고 있지만,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현재 강북권은 집값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 국회에서 재건축 대책 논의 지연
재건축 및 재개발 관련 특례법이 국회에서 논의되지 못하면서 조합과 건설사, 정부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침체된 건설경기를 활성화하고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필수적이지만, 야당의 반대로 인해 9개월째 공전 중입니다. 이로 인해 공급 부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4. 학군지 대치·목동과 중계동의 집값 차이
서울의 대표 학군지인 대치동과 목동은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중계동은 매수세가 약해 집값이 잠잠한 상황입니다. 중계동은 학원가 수요는 있지만, 매수자 관심이 줄어들고 있으며, 노후 단지와 정비사업의 불확실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5.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으로 완판 성공
용인시는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의 효과로 아파트 분양에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최근 용인에서 분양된 아파트들이 완판된 반면, 평택과 이천에서는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역 간 수요 차이와 투자 규모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습니다.
6. 아파트의 제로에너지 의무화
오는 6월부터 민간 아파트에도 제로에너지빌딩(ZEB) 인증제가 의무 적용됩니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조치로, 건설사들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건설사들의 부담을 덜어줄 계획입니다.
7. 강남 집값 상승, 외곽 지역으로 번질까?
강남3구를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가 마포, 용산, 성동구로 확산되고 있으며, 외곽 지역에서도 가격 상승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외곽 지역의 집값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문의전화]
태영에스테이트 자산관리5팀
02-417-3511 [유매니저]
https://open.kakao.com/o/svuJlWoh
서울 전셋값 마련하려면, 월급 그대로 모아도 5.6년 https://v.daum.net/v/20250312060024111
서울 온기 전역 퍼지기엔 '한계'…"추가 금리 인하·대출 완화 관건" https://v.daum.net/v/20250312051452631
국회 문턱 못 넘는 '재건축 대책'에 조합·건설사·정부 '전전긍긍' https://v.daum.net/v/20250312060452325
"대치·목동은 '넘사벽'"⋯학군지 중계동 집값 '잠잠' [현장] https://v.daum.net/v/20250312050508498
"삼성·SK 품었다" 용인 '완판' 됐는데…평택·이천 '미분양' 속출, 왜? https://v.daum.net/v/20250312044003145
아파트도 녹색 바람… 건설사 ‘바람 잘 날 없네’ https://v.daum.net/v/20250312022813699
'신고가' 강남따라 우리도?…집값 불길, '마용성'→'노도강'까지 번질까 https://v.daum.net/v/20250312040702013
'부동산 시장 동향 > 오늘의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당5구역에 530가구 신축아파트로 (2) | 2025.03.23 |
---|---|
3월19일 부동산뉴스 알아볼까요? (1) | 2025.03.19 |
3월18일 부동산 시장 동향 알아볼까요? (5) | 2025.03.18 |
25년 3월 14일 부동산 주요뉴스 (3) | 2025.03.14 |
오늘의 부동산 뉴스 25.03.11. (0) | 2025.03.11 |